카테고리 없음

빽햄 가격 논란, 백종원의 이중성에 대해 지적하는 네티즌들

ARTO 2025. 2. 2. 17:17
728x90
반응형

 

 

더본코리아 대표 백종원에 대한 논란이 많다. 물론 백종원은 골목식당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연돈 같은 숨겨진 맛집들을 찾아내고 지원해주는 역할을 했으며, 지역 상생 프로젝트로 바가지 요금을 없애고 지역 홍보를 통해 국가에서도 해결하지 못한 지역소멸을 해결하는 모양새를 보여주는 등 '선한 영향력'으로 알려진 기업가지만, 이전 게시글에서도 이야기했다시피 자신의 기업인 프랜차이즈 운영기업 '더본코리아'의 성장 여부에 대해서는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상장 첫날 시가 깨지고 하락하는 이유

 

백종원 더본코리아, 상장 첫날 시가 깨지고 하락하는 이유

요리 연구자이자 660만 구독자를 가지고 있는 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가 상장한지 사흘 만에 상장 첫 날 시초가인 시가 51,400원을 깨고 10% 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커뮤니티와 기사에서는

blodblue.tistory.com

백대표 믿고 투자했는데…돌발 악재까지 터진 백종원 회사 [종목+] | 한국경제

 

"백대표 믿고 투자했는데"…'돌발 악재'까지 터진 백종원 회사 [종목+]

"백대표 믿고 투자했는데"…'돌발 악재'까지 터진 백종원 회사 [종목+] , 불 끄려다 지핀 백종원의 '빽햄 해명' 수익 낸 투자자가 없다 소비급랭에 '빽햄 악재'까지 더본 연중 최저가로 추락

www.hankyung.com

 

 

물론 공모지상의 부진한 실적과 우리사주 청약 미달 등 외부적인 요소도 없지는 않겠지만, 근본적으로 더본코리아의 경영적 평가에 대해 이야기하면 저가 커피 시장인 빽다방이 당시 별도 기준 매출 (2113억) 가운데 37.3%인 800억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즉 카페인 빽다방의 매출에 따라 실적의 변동성이 오갈 가능성이 큰데, 카페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빽다방의 차별적인 요소는 현재까지 백종원 대표의 마케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정론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실제로 빽다방 같은 차별적 요소가 별로 없는 브랜드를 제외한 홍콩반점, 롤링파스타 등 음식점 계열 프랜차이즈들은 매장별로 맛이 극단적으로 상이하다는 소비자들의 컴플레인이 들어오는 것이 사실이고, 이에 대해서 백종원 대표도 인지하고 유튜브 영상에 홍콩반점에 대한 운영 미숙 문제에 대해 해명하기도 했다.

 

 

***

 

[더본뉴스] '빽햄'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한편, 최근 제기된 문제는 백종원의 회사인 더본코리아에서 출시하는 '빽햄'에 대해 너무 비싸다는 소비자들의 컴플레인이 이어져 논란이다. 원래 햄 시장은 스팸을 1티어로, 리챔을 2티어로, 그 외의 햄들을 3티어로 두는 등 이미 기준을 만들고 기준에 따라 햄의 티어가 정해진 상태였는데, 빽햄의 경우에는 고기 함량(85%)이 경쟁사인 스팸(92%), 리챔(91%)에 비해 현저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정가를 51,900원으로 책정하고 45%인 28,500원에 판매하여 사실상 정가를 올려쳐서 할인가를 높게 만들려는 상술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른 것에 기인한다.

 

백 대표는 이에 대해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45% 할인 판매를 했지만, 회사 운영비를 포함하면 사실상 마진이 제로다"라며 해명에 나섰다. 백 대표는 '소량 생산에 따른 생산비용 가중' 문제에 따라 45% 할인해서 판매하면 1세트당 정확히 1,500원이 남으며, 회사 운영비나 홍보비까지 빼면 0원이라고 밝혔다. 또한 빽햄의 고기 함량이 스팸이나 리챔에 비해 낮은 것에 대해서 "원가부담을 낮추려고 고기함량을 뺀 것이냐"라는 지적에는 "100원 아끼려고 고기 함량을 줄이겠느냐"라며, "부대찌개용으로 개발하면서 국물에 감칠맛을 내기 위해 양념이 들어간 것이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은 냉담한 반응이다.

 

"정가를 높게 책정했다고 말하는 것은 쿠팡이나 신세계 등 다른 유통채널에서 3만 원 대에 팔고 있는 제품이 할인 행사 때에는 5만 원으로 정가가 올라간 부분에 대한 해명을 말한 것인데, 이 부분을 뺀 것은 실속 없는 해명이다"

 

"영세 자영업자들에게는 '사장님이 고충이 있다고 비싸게 올려받는 것을 소비자들이 이해할 것이라 생각하면 안 된다'라고 현실적 조언을 했으면서도, 본인이 정작 그 문제에 직면하니 "실제로 회사가 마진을 얼마나 번다"라고 해명하는 것은 이중적이다"

 

"한돈 농가에 도움을 주자는 취지가 소비자들에게 가격을 높게 받아서 도움을 주겠다는 취지라면, 사실상 내 돈을 안 쓰고도 남들에게 생색내는 것이 아니냐"

 

라는 입장이다.

 

 

728x90
반응형